안전혁신 방안 등 안전 메뉴얼 장착, 현장에 발빠르게 시범 적용
[건설이코노미뉴스] 내년 1월 27일 시행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대형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고강도 '안전대책'을 앞다퉈 내놓며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시행 2개여월을 앞둔 중대재해처벌법은 근로자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발생한 기업의 경영책임자(CEO) 등이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 등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날 경우 처벌할 수 있도록 것이 핵심이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산업계 사망.사고의 절반이 넘게 발생하고 있는 건설현장의 불가피성을 감안하면 건설사들의 치명타가 예고 되고 있는 가운데 각자도생식 '안전혁신 방안'을 속속 내놓고 있다.
국내 간판급 대형건설사들은 △안전인력 운영 혁신 △안전비용 투자 확대 △스마트 안전기술 확대 △안전 의식 혁신 등 안전 메뉴얼을 마련하고, 일찌감치 현장에 시범적용하고 있는 모양새다.
중대재해 처벌법을 코앞에 둔 시점에서 '건설업 시공능력평가 TOP10'에 속한 건설사들의 안전혁신 방안을 들여다 본다.
먼저, 현대건설은 건설사 최초로 ‘통합 스마트 자동계측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 작업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붕괴사고를 막기 위해 현장 가시설 구조물과 지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통합관리하는 클라우드 기반 안전관리 플랫폼이다.
안전관리자도 대폭 확대한다. 오는 2025년까지 안전관리자 1000명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현장 직책자의 안전자격증 취득도 의무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성물산은 현장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전담팀, DfS(Design for Safety)팀을 출범했다. DfS팀은 업계 최초로 구성한 '사전예방형 안전관리' 전문가 그룹이다. 시공 전 단계부터 현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기술적으로 이를 개선·대처할 방법을 고민하는 게 주 업무다. 건설 현장에서 사업이 진행되기 전 반드시 DfS 프로세스를 거치도록 한 것이다.
삼성물산은 Dfs 외에도 '안전이 경영의 제1원칙'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전방위에 걸친 안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구 SK건설)는 안전사항을 점검하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애플리케이션인 ‘안심(안전에 진심)’을 개발해 운용 중이다. 앱을 통해 현장의 모든 근로자가 당일 작업의 위험도, 팀원 현황, 안전수칙 등 주요 점검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DL이앤씨(구 대림산업)는 효과적인 사고예방을 위해 기존에 발생했던 재해를 유형별로 빅데이터화 해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도출된 사고분석 리포트는 현장 전직원에게 매월 발송돼 현장별 특성과 여건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해 실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 기술 및 장비를 활용한 안전사고 예방 기술도 적용 △안전관리 성과공유제 도입 △안전체험학교 개관 등 다양한 안전 혁신 활동을 통해 무사고 작업장을 조성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안전 최우선 가치 실현을 위해 무재해 달성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한다. 포스코건설은 무재해 달성 인센티브 외에도 △세이프티 엔지니어링 도입 △세이프티 매니지먼트 고도화 △페일 세이프 시스템 적용 △안전경영 조직문화 혁신 등 4개 분야의 안전관리 종합개선대책도 마련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전 현장 내 모든 근로자, 관리 감독자는 안전모에 부착된 QR코드를 활용해 위험신고센터에 접속해 작업중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앞으로 안전하지 않으면 작업하지 않는 작업환경을 조성해, 근로자에게 안전하고 행복한 일터를 구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협력사의 자율적 안전관리 역량 향상을 위해 지원하고 관리 감독자, 근로자의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체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GS건설은 국내 최초로 '안전소장 제도'를 실시한다. 안전소장은 공사 과정을 총괄하는 현장소장과 별도로 현장에서 벌어질 수 있는 안전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소장이다. 기존 현장소장 하위 조직이 아니라 현장소장과 대등한 권한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공정경쟁 낙찰제'도 도입한다. 공정경쟁 낙찰제는 협력사가 저가 또는 조건 미 충족(기준 Spec. 미준수, 적정 인원 미투입 등)의 행위로 가격을 왜곡해 투찰해 낙찰받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다.
대우건설은 안전 사고 근절을 위한 ‘안전혁신안’을 발표했다. 대우건설은 최고경영자(CEO) 직속 조직인 품질안전실을 안전혁신본부로 격상한다. 또한 조직 강화를 통해 시스템을 정비하고 그 시스템이 현장에서 잘 작동되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앞으로 5년간 안전예산 1400억원 이상을 투자할 방침이다. 예산은 법적 안전관리비 이외에 별도 예산을 편성해 안전교육 강화, 안전시설 투자 등에 쓰인다. 현장의 안전감독인원 500명을 상시 투입해 실질적인 안전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아울러 대우건설은 현장에서 위험발생 또는 예견시 근로자가 작업중지를 요청해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작업중지권’ 제도를 추진한다. 이에 더해 IT시스템 기반으로 익명 제보가 가능한 ‘안전핫라인’ 채널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여과없이 수렴하고, 사내 안전관리 정책 개선에 반영할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ICT 기반 안전관리시스템을 통해 건설현장 안전강화에 나섰다. 이 시스템은 ICT 기술 기반의 '장비접근 경보시스템'으로, 건설 장비에 설치한 '전자태그(RFID) 수신기'와 작업자의 안전모에 부착한 '전자태그 스티커'가 양방향 무선통신을 하면서 상호간 거리가 7.5m 이하로 좁혀지면 즉시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건설장비 사용 시 배치되는 신호수와 함께 2중으로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
롯데건설은 스마트 안전기술 중 하나인 360도 촬영 가능한 ‘넥밴드형 웨어러블 카메라’를 현장에 도입했다. 넥밴드형 웨어러블 카메라는 기존 건설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액션캠과 달리, 목에 걸어 착용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로워 안전관리 업무 효율성이 높다.
이 밖에도 롯데건설은 안전의식 강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안전소통의 날을 시행하며 현장 안전 주의사항과 예방책을 점검하고 있다.
한편,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내년초부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주요 건설사들은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선제적인 안전관리 문화 선도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